센터프로그램
- 시민
-
모집
마감
![[여름학기] 누구나 소설 - 짧은 소설 함께 쓰기](../data/new_center/202305/202305251685001137.jpg)
[여름학기] 누구나 소설 - 짧은 소설 함께 쓰기
-
모집기간
2023.05.25(목) 00:00 ~ 2023.06.20(화) 23:59
-
진행기간
2023.06.21(수) ~ 2023.08.09(수)
-
참여조건
일반회원
-
모집대상
시민누구나
-
진행장소
노무현시민센터 2층 다들려강의실, 노무현시민센터 2층 다보여강의실
-
정원
20명
-
참가비
160,000원
후원회원
120,000원
- 신청마감
-
프로그램 신청 내역은 마이페이지 > 시민센터 활동내역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프로그램 소개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은 정보가 아니라 정서이기 때문이다."
김기창 저 「기후변화 시대의 사랑」의 서문에 적혀있는 문장입니다. 소설을 쓴다는 것이 세상을 얼마나 변화시킬까 싶지만, 그 문장을 읽고 고개를 끄덕이게 됩니다. 결국 사람의 마음을 움직여야 실천과 행동으로 이어진다는 당연한 사실을 깨닫습니다. 소설은 분명 그러한 힘이 있습니다. 저는 이 강의를 들으시는 분들이 소설을 쓰고 말하고,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고 말하는 전 과정을 통해 그것이 무엇이든 간에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이야기를 꺼낼 수 있는 힘을, 또 그러한 메시지를 글 속에 담아내는 힘을 얻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
프로그램 내용
소설에 관심이 있는 분,
소설 쓰기가 처음이신 분,
소설을 한 번 이상 써보신 분에게도,
모두에게 좋은 수업입니다. 혼자 글쓰기가 힘들게 느껴졌다면 이 수업은 크게 도움이 될거에요.
소설의 첫 문장부터 같이 고민하고, 초고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퇴고까지 전 과정을 함께 해주세요.
모든 과정에 성실하게 참여하신다면 적어도 내 소설 한 편은 반드시 가져가실 수 있을거에요.
※ 짧은 소설 분량은 a4용지 3매 내외 정도 됩니다.
※ 과정 이후 완성된 작품은 원하시는 분에 한해 재단 플랫폼(홈페이지, 뉴스레터 등)을 통해 연재됩니다.
- 일시 : 2023년 6월 21일 ~ 8월 9일
매주 수요일 저녁 7시(2시간/총 8회차)
- 장소 : 노무현시민센터 다들려강의실
- 정원 : 20명
일정
강의내용
1회차
(6/21)
짧은 소설에 대하여
플롯과 구조, 비유와 묘사 등
2회차
(6/28)
짧은 소설 읽기
기후위기 담론 및 관련 소설 살펴보기
3회차
(7/5)
일곱 가지 질문으로 살펴보는 짧은 소설 쓰는 법
<제6회 십분발휘 짧은소설 공모전 당선작> PDF 파일로 제공
4회차
(7/12)
초고 함께 보기1
주제는 잘 드러났는가
이야기의 흐름은 자연스러운가
바른 문장을 사용했는가
비유와 묘사 등은 적절한가
맞춤법과 띄어쓰기는 정확한가
5회차
(7/19)
초고 함께 보기2
6회차
(7/26)
초고 함께 보기3
7회차
(8/2)
퇴고작 보기1
4,5,6차시 피드백을 반영한 글을 다시 보면서 완성도 있는 소설 만들기
8회차
(8/9)
퇴고작 보기2
-
소개
-
이름
이재은
-
소속
마음만만연구소 대표
-
소개
2015년 중앙신인문학상 소설 부문으로 등단했고 2019년 심훈 문학상을 받았다.
소설집 『비 인터뷰』와 『1인가구 특별동거법』이 있다. 소설창작워크숍, 단편소설 깊이 읽기, 문학필사30일 등의 온라인 강좌를 진행하는 1인 문화예술공간 마음만만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십분발휘 짧은소설 공모전, 초보 독서가를 위한 짧은소설 안내서 등을 기획했다. -
이력
[센터|시민|오프라인] [여름학기] 누구나 소설 - 짧은 소설 함께 쓰기 (2023.6.21. ~ 2023.8.9.)
[센터|시민|오프라인] 내 삶의 기록, 자서전 쓰기 (2022.11.1. ~ 2022.12.20.)
-
-
회차 정보
1회차
2회차
3회차
일시 2023.07.05(수) 19:00 ~ (목) 21:00
-
장소 노무현시민센터 2층 다들려강의실
- 약도보기
-
-
강의주제 일곱 가지 질문으로 살펴보는 짧은 소설 쓰는 법 - <제6회 십분발휘 짧은소설 공모전 당선작> 제공
-
4회차
5회차
6회차
7회차
8회차
-
-
참여 요건
시민누구나
-
참여 승인
없음